다국적 브랜드 점령한 샹젤리제 “사르코지 때 양극화 심화”
본문 바로가기
현장에 가다 /프랑스 대선 일기

다국적 브랜드 점령한 샹젤리제 “사르코지 때 양극화 심화”

by 경향글로벌칼럼 2012. 5. 3.

ㆍ“높은 임대료 앞세워 기존 가게들 내몰아” 상인들 비판 목소리



파리 중심가 개선문부터 시원하게 뻗은 가로수길인 샹젤리제는 프랑스인들이 세계 최고로 아름다운 길이라고 손꼽는 프랑스의 자존심 같은 곳이다. 하지만 길을 따라 걷다보면 전 세계 다국적 브랜드들의 전쟁터를 방불케한다. 갭, 자라, H&M처럼 세계 여느 대도시에서도 볼 수 있는 중저가 의류브랜드 간판들이 즐비하다. 대형 음반매장 버진 메가스토어가 철수한 노른자위 자리에 애플이 진출할 것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


1978년부터 샹젤리제 현재 자리를 34년째 지켜온 간이매점 주인 모하메드(50)는 가게 앞 매장들의 변천사를 쭉 읊었다. “디즈니 매장이 들어선 저 자리는 원래 사우디아라비아 은행이 있었다. 바로 옆 자라 매장은 전에는 맥도널드, 그 전엔 프랑스 구두가게였다. 저기 모퉁이를 돌아가면 레바논식 캬바레가 있었고….” 그는 “옛날엔 산책할 때도 안전했지만 요즘은 동냥꾼에 소매치기가 극성”이라며 얼굴을 찌푸렸다. 


1914년부터 샹젤리제에 자리해온 프랑스 화장품업체 겔랑의 매장직원 나디아(63)는 평생 본 거리가 변하는 것이 아쉽다고 했다. “1960년대만 해도 샹젤리제에는 고급매장 사이를 마치 오페라 극장에 가듯 차려입은 사람들이 거닐었죠. 하지만 20년 전쯤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널드가 들어오고, 10년 전부터는 다국적 브랜드들이 들어오면서 분위기가 달라졌어요. 관광객들이 몰리고, 치솟는 세를 못견딘 기존 가게들이 떠났거든요.” 겔랑 매장 인근의 중저가 화장품 매장 ‘세포라’는 개당 13유로(약 1만9000원)쯤 하는 파운데이션 등을 사려는 여성들로 북적이고 있었다.


샹젤리제는 프랑스의 오늘을 집약하는 곳이다. 일자리 부족과 빈부격차가 지난 10년간 심화되면서 사람들의 구매력은 줄어들었고, 그에 맞춰 저가 브랜드들이 대거 등장했다. 



프랑스 파리 중심가 샹젤리제에서 파리 시민들이 2일 세계적으로 각광받은 스페인 의류 브랜드 자라와 미국 월트디즈니 기념품 매장 앞을 지나가고 있다. 파리 _ 최민영 기자 min@kyunghyang.com




프랑스 통계청(INSEE)은 프랑스의 실업률이 11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1999년 이후 최고치인 10%를 기록하고, 구매력도 2007년 이후 약화됐다고 최근 집계했다. 


파리에 거주하는 한 교민은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예전에 일요일에 문을 여는 가게는 아랍인 상점 정도였지만, 요즘은 프랑스인들이 운영하는 식료품점 등도 문을 여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마스터 셰프> 같은 요리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끈 이유는 사람들이 돈을 아끼려 외식 대신 재료를 구입해 직접 요리하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그래서 이번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국내 정책 가운데 하나가 ‘구매력’을 어떻게 끌어올리느냐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구매력 대통령’이 되겠다는 공약까지 내걸었다. 


그러나 노동계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 원인을 사르코지 대통령이 집권한 뒤 신자유주의 기조가 상당히 강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프랑스 민주단일노조 쉬드(SUD) 소속 체신노조(PTT)의 파트릭 아케르망 중앙지부장은 2일 인터뷰에서 “사르코지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대기업 일자리를 잡겠다면서 기업들의 세금을 감면해주고 간접세인 소비세는 올려서 결국 빈부격차를 심화시킨 책임이 있다”며 “1960년대 말 프랑스가 도입한 최저임금제(SMIC)도 일자리를 만들려면 고용 유연화가 필요하다며 폐지를 주장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신자유주의가 유럽연합의 통합이 가속화되면서 강화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 여기에 대해서는 프랑스 좌·우파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파업 횟수를 사안에 따라 지정하는 유럽연합의 새 정책 추진 내용은 영락없이 기업가 편의적이다. 니콜라 갈레피드 쉬드 체신노조연맹 대표는 “만약 프랑스 경제가 더 악화된다면 유럽연합에 노골적으로 반대하는 극우파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에 대한 지지도가 더욱 증가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파리 | 최민영 기자 min@kyunghya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