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국도 내연기관 차 중단 검토, 자동차혁명에 준비됐나
본문 바로가기
경향 국제칼럼

[사설]중국도 내연기관 차 중단 검토, 자동차혁명에 준비됐나

by 경향글로벌칼럼 2017. 9. 13.

중국이 가솔린과 디젤 등 화석연료로 움직이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를 중단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중국 자동차산업을 담당하는 고위 당국자는 최근 “중국이 전통 에너지 자동차의 생산과 판매를 중단하는 연구를 시작했으며 곧 시간표를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영국과 프랑스 등이 2040년까지 화석연료 자동차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해외 언론은 중국의 판매중단 시기를 2040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이 연간 2800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자동차 대국임을 감안하면 이번 선언은 지난 100여년간 자동차를 지배했던 내연기관 시대의 종말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뜻한다. 한편으로는 신에너지 자동차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각국의 각축전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세계 각국의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중단은 당국과 업계가 혼연일체가 돼 새로운 자동차혁명에 대비하겠다는 뜻이다. 전통적인 자동차업체로는 볼보가 이미 2019년 내연기관 차 생산중단을 선언한 상태이다. 중국은 전통적인 자동차산업의 후발주자지만 전기차 부문에서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 올라섰다. 어제부터 시작된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벤츠, BMW 등 글로벌 업체들은 전기차·수소차 등 신에너지차를 대거 선보였다. 신에너지차는 높은 가격, 짧은 주행거리, 부족한 충전시설, 배터리 수명 등 갈 길이 멀지만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장애물이 낮아지는 추세이다. 자동차를 구입해 관리하고 사용하는 데 드는 총소유비용 측면을 보면 수년 내 전기차값이 내연기관 차보다 싸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한국의 대응은 실망스럽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수치목표에만 매달린 채 공허한 보급계획을 내세우는 등 글로벌 시장 상황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면서 우왕좌왕했다. 현대차가 최근 친환경차 로드맵을 내놨지만 글로벌 업체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특히 최근 들어 미국시장 판매감소,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후폭풍 등으로 미래 전략을 세우는 것조차 힘겨워 보인다. 한국의 전기차 판매비율은 주요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이대로라면 자동차 후발주자의 딱지를 떼어내기는커녕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상황이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동차혁명에 머리를 맞대고 대응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