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보낼 청구서
본문 바로가기
경향 국제칼럼/기자메모, 기자칼럼

트럼프가 보낼 청구서

by 경향글로벌칼럼 2018. 6. 12.

국제 뉴스를 다루는 기자들의 일과 중 하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를 확인하는 것이다. 기사거리가 될 만한 돌발 발언을 트위터에서 즐겨 하기 때문이다.

기자들은 10분마다 한 번씩 컴퓨터 자판의 ‘F5’ 키를 눌러 트위터 타임라인을 ‘새로고침’하면서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주시해야 한다. 6·12 북·미 정상회담처럼 주요한 행사를 앞둔 시기엔 더욱 그렇다. 알렉스 퍼거슨 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은 선수가 트위터로 설화를 일으키자 “트위터는 시간 낭비”라고 일갈한 바 있는데,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는 그 자신뿐 아니라 전 세계 외교관과 기자들의 시간까지 축내고 있다.

 

그러나 트위터를 확인하는 외국 기자들의 수고는 트럼프가 ‘우리 대통령’인 미국 시민들과 기자들의 피로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이처럼 하루가 멀다 하고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는 언행을 일삼는 대통령이 미국 현대사에 또 있었을까. 가장 최근의 사건은 지난 8일부터 이틀간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벌어졌다. 앞서 미국이 캐나다와 유럽연합, 멕시코산 철강·알루미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탓에 캐나다와 유럽 정상들은 이 회의에서 트럼프의 양보를 받아내겠다고 잔뜩 벼르고 있었다.

 

북·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1일 서울역 대합실의 TV 화면에 나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얼굴을 시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애석하게도 트럼프의 정신은 온통 북·미 회담에 팔려 있었다. 그는 북·미 회담을 핑계로 퀘벡에 다른 정상들보다 늦게 도착했고 일찍 떠났다.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도 성의가 없었다. 그는 토론에 집중하지 않고 회의장을 어슬렁거려 다른 정상들을 불쾌하게 만들었다. 회의 마지막 날 그는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대한 지지를 (이 또한) 트위터로 돌연 철회하고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정직하지 않다”고 비난하는 것으로 대미를 장식했다. 트럼프가 공동성명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히고 일찌감치 퀘벡을 떠난 뒤, 트뤼도가 기자회견에서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를 예정대로 7월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말한 게 이유인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는 ‘무능한 대통령을 둔 대가’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트럼프가 미국인의 일상에 재앙을 불러올 시간이 머지않았다고 내다봤다. 칼럼은 그 전조로 지난해 미국령 푸에르토리코를 강타한 허리케인 ‘마리아’의 사례를 들었다. 지난달 29일 외신 보도를 보면 하버드대 연구진이 푸에르토리코 3299가구를 직접 방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9~12월 마리아로 숨진 사망자는 최소 4645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발표한 공식 사망자 64명의 70배가 넘는 수치다. 수천명이 숨지는 대형 재해였지만 트럼프가 무엇을 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무기력했던 푸에르토리코 정부를 비난한 것 외엔 눈에 띄는 발언이 없었다.

 

대통령이 외교·통상에서 저지른 실책이 시민들의 삶에 피해를 주기까지는 얼마간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자연재해나 신종 감염병 등 재난 상황에서 대통령의 무능이 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즉각적이다. 마리아는 미국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을 할퀴고 지나갔지만 또 다른 재난이 본토를 위협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미국 지식인들은 트럼프의 임기가 흘러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그가 임기 4년 동안 차근차근 쌓아올린 과오와 무능이 미래의 어느날 엄청난 액수의 청구서가 돼 시민들에게 돌아올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무이자할부로 여기저기서 야금야금 카드를 긁었다가 결국 빚이 산더미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특히 안타까운 대목은 이 무능한 대통령이 하필이면 ‘세계 대통령’인 미국 대통령이라는 사실이다. 미국 대통령이 저지른 실정의 결과는 언젠가 세계인들에게 돌아갈 것이다. 그때 세계가 느끼게 될 피로감은 대통령 트위터를 새로고침하는 수고에 비할 바가 아닐 것이다. 미국 투표권이 없는 한국의 기자는 그저 차기 미국 대선에서 유권자들이 현명하게 투표하기를 바랄 뿐이다.

 

<최희진 국제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