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맨주먹 국경분쟁
본문 바로가기
경향 국제칼럼

[여적]맨주먹 국경분쟁

by 경향글로벌칼럼 2020. 6. 19.

17일(현지시간) 인도 하이데라바드 주민들이 중국과의 국경 충돌로 숨진 군인들을 애도하기 위해 촛불을 밝히고 있다. AP 연합뉴스


땅이 넓고 물산이 풍부하다는 ‘지대물박(地大物博)’은 중국을 가리키는 말이다. 인구는 1위이고 면적은 러시아와 캐나다에 이어 세 번째다. 4만㎞에 달하는 국경선은 14개 나라와 맞닿아 있다. 영토분쟁이 없을 수 없다. 중국은 1949년 건국 이후 끊임없이 인접국과 국경분쟁과 협상을 이어왔다. 국경 획정은 1960년대 미얀마, 네팔, 북한, 몽골,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90년대 라오스(1991), 카자흐스탄(1994), 키르기스스탄(1996), 베트남(1999)에서 대략 마무리됐다. 


문제는 러시아와 인도였다. 1960년대 중국과 러시아는 전투까지 벌일 정도로 영토분쟁을 겪었지만 국경을 획정하진 못했다. 두 나라는 소련이 해체된 뒤인 1994년에야 중앙아시아 지역의 영토 문제를 일단락지었다. 그러나 우수리강 유역을 포함한 전체 중·러 국경을 획정한 것은 2005년이었다. 중국-인도의 국경은 1947년 인도가 독립하고 이태 뒤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이후 지금까지 정하지 못했다. 1962년 양국이 설정한 LAC(실질통제선)가 국경선을 대신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3488㎞에 달하는 기다란 LAC는 산악 지형, 소수민족 거주 등으로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양국이 70년 넘게 국경을 놓고 싸우는 이유다.


지난 15일 인도 북서부 라다크 갈완계곡 LAC에서 인도 순찰대와 중국군 간에 난투극이 벌어져 인도 군인 20명을 비롯해 수십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투석, 쇠몽둥이질과 같은 육탄전에 의해 희생됐다고 한다. 라다크 지역은 1962년 중국-인도 국경 전투로 수천명이 전사한 대표적인 분쟁지역이다. 이후 양국은 교전 방지를 위해 ‘비무장 경계’에 합의했고, 두 나라 군인들은 총기를 소지하지 않은 채 국경지역을 순찰해 왔다.


중국-인도의 국경 유혈사태는 영토분쟁의 심각성도 보여주지만 대국 간 기싸움이기도 하다. 두 나라는 세계 1·2위의 인구 대국이자 핵을 보유한 군사 강국이다. 인도는 최근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맞서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인도는 미국과 일본이 중심이 된, 중국을 포위하는 인도·태평양전략의 주요 축이기도 하다. 히말라야에서 맨손으로 벌이는 국경분쟁에 세계의 눈이 쏠리고 있다.


<조운찬 논설위원 sidol@kyunghya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