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엔 기후변화협약회의, 인류의 명운 걸렸다
본문 바로가기
경향 국제칼럼

[사설] 유엔 기후변화협약회의, 인류의 명운 걸렸다

by 경향글로벌칼럼 2015. 11. 27.

29일(현지시간)부터 다음달 11일까지를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2주일’이라 할 수 있겠다. 지구온난화가 야기하는 파국을 막기 위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프랑스 파리에서 이 기간 중 열린다. 이번 총회에서는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체계를 마련한다. 이미 한국을 포함, 178개국이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했다. 특히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을 넘는 미국(14.9%)과 중국(29.5%), 인도(6.5%)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신기후체제 합의문을 도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번 총회에서도 교토의정서처럼 의회의 비준을 받아야 하는 조약이 아닌 자율 형식으로 합의될 가능성이 크다. 공화당의 반대가 극심한 미국의 경우도 자율감축 형식을 선호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재정지원과 기술이전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그렇더라도 파리 테러에도 불구하고 총회가 열리고, 불참을 통보한 정상이 한 사람도 없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사실 지구의 기후변화는 임계점을 넘어섰다. 온도 상승 폭이 지금의 속도라면 200년 안에 5~6도 이상 오른다는 것이 환경단체들의 분석이다. 금세기 말까지의 목표인 ‘2도 상승’이 지켜지더라도 생물의 30%가 멸종한다는 암울한 분석이 나와 있다. 바야흐로 인류의 멸종까지 걱정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아프리카를 방문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기후변화에 대처하면서 공공의 이익 대신 개개의 이익만을 앞세운다면 대재앙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후변화는 특정 국가만의 재앙이 아니라 지구촌 공동체가 함께 풀어야 할 절체절명의 숙제이다.


57개 환경,여성,종교,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기후행동2015' 소속 회원들이 파리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개막을 하루 앞둔 29일 재생가능에너지 사용을 통한 기후변화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서울 청계천을 출발해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_정지윤기자


국제사회는 기후변화라는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신기후체제 출범으로 세계 총생산의 2%인 1조5600억달러(1800조원)가량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열린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한국은 어떤가. 최근 유엔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 의장이 된 이회성 고려대 교수는 “신기후체제가 우리에게는 오히려 축복”이라고 했다. 다른 나라처럼 기후변화를 위해 포기해야 할 화석에너지 자원이 없고,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나름 신경을 쓴 덕분에 경쟁력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답은 나와 있다. 신기후체제 출범 후에도 온실가스 감축량의 지속적인 재조정 등 국제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는 많다. 한국은 인류의 과업이 된 온실가스 감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야 할 명분과 실리를 모두 갖추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