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라틴아메리카 일부 국가에서 또다시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의회가 대통령 탄핵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브라질과 의회 다수파를 차지한 야권이 대통령 소환 투표를 계획하고 있는 베네수엘라가 대표적인 사례다. 월드컵 개최 이전인 2013년에 대중교통요금 인상을 계기로 시작된 시위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될 때만 해도 브라질 노동자당 출신의 여성 대통령 지우마 호세프는 그것을 민주주의 체제에서 용인해야 하는 정당한 요구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1년여 전 연립 정부를 구성한 정당들의 유력 정치인들이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브라스로부터 불법 정치자금과 뇌물을 받았다는 부패 추문이 사실로 드러난 뒤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지카 바이러스의 확산 등 잇따른 악재로 호세프의 인기는 추락을 거듭했다. 게다가 여성 대통령의 완고하고 비타협적인 이미지와 여러 부처에 자율권을 부여하지 않고 개입하려는 통치 방식도 지지율 하락을 재촉하는 요인으로 지적돼왔다.
베네수엘라에서도 유가 하락에 따른 경기침체가 생필품 부족 현상을 악화시키고 광범위한 대중의 불만을 초래하면서 2013년 우고 차베스의 사망 이후 권좌를 계승한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의 인기는 급락했다. 또 마두로 정부는 유혈 폭력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야당 지도자들을 투옥시키면서 야당 지지자들의 반발을 샀다. 이런 상황이 반영된 결과 2015년 12월 총선을 통해 17년 만에 여소야대 의회가 구성됐고, 대통령과 정부의 권한을 축소하기 위해 다양한 법적 수단이 모색되고 있다.
이런 상황의 전개는 새로운 정치를 요구하는 오래된 방식이고 민주주의 국가에서 주기적으로 가능한 권력 교체의 단면일 뿐이다. 아울러 룰라와 차베스라는 정치적 거인의 공백을 메우고 성과를 유지하는 작업이 결코 쉽지 않으며 양국에서 그만큼 제도의 정착이나 체계의 정비가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방증일 것이다. 재정적자를 줄인 것처럼 정부 회계를 조작했다는 주장은 반대자들이 호세프 탄핵에 나선 명분이지만, 사실 탄핵을 추진하는 정치인 가운데 다수가 횡령, 자금 세탁 등 부패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의원 신분을 유지하는 이들이 정상적인 법적 절차로부터 면제받고 있는 등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호세프와 마두로는 경기침체와 정치 불신뿐 아니라 개혁의 족적을 뚜렷이 남긴 전임자의 그늘 속에서 대중의 거센 분노를 한몸에 받게 된 불운에 아쉬움을 토로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잘 정비된 민주적 견제와 권력 교체의 메커니즘에 실린 대중의 역동적 선택이 무책임하고 평판이 좋지 않은 권력자에게 그런 운명을 선사할 수 있으며 권좌를 노리는 이들을 주기적으로 경계하게 만들고 누적된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부인할 순 없을 것이다.
박구병 | 아주대 교수·서양현대사
베네수엘라에서도 유가 하락에 따른 경기침체가 생필품 부족 현상을 악화시키고 광범위한 대중의 불만을 초래하면서 2013년 우고 차베스의 사망 이후 권좌를 계승한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의 인기는 급락했다. 또 마두로 정부는 유혈 폭력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야당 지도자들을 투옥시키면서 야당 지지자들의 반발을 샀다. 이런 상황이 반영된 결과 2015년 12월 총선을 통해 17년 만에 여소야대 의회가 구성됐고, 대통령과 정부의 권한을 축소하기 위해 다양한 법적 수단이 모색되고 있다.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_연합뉴스
이런 상황의 전개는 새로운 정치를 요구하는 오래된 방식이고 민주주의 국가에서 주기적으로 가능한 권력 교체의 단면일 뿐이다. 아울러 룰라와 차베스라는 정치적 거인의 공백을 메우고 성과를 유지하는 작업이 결코 쉽지 않으며 양국에서 그만큼 제도의 정착이나 체계의 정비가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방증일 것이다. 재정적자를 줄인 것처럼 정부 회계를 조작했다는 주장은 반대자들이 호세프 탄핵에 나선 명분이지만, 사실 탄핵을 추진하는 정치인 가운데 다수가 횡령, 자금 세탁 등 부패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의원 신분을 유지하는 이들이 정상적인 법적 절차로부터 면제받고 있는 등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호세프와 마두로는 경기침체와 정치 불신뿐 아니라 개혁의 족적을 뚜렷이 남긴 전임자의 그늘 속에서 대중의 거센 분노를 한몸에 받게 된 불운에 아쉬움을 토로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잘 정비된 민주적 견제와 권력 교체의 메커니즘에 실린 대중의 역동적 선택이 무책임하고 평판이 좋지 않은 권력자에게 그런 운명을 선사할 수 있으며 권좌를 노리는 이들을 주기적으로 경계하게 만들고 누적된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부인할 순 없을 것이다.
박구병 | 아주대 교수·서양현대사
반응형
'경향 국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미 공화당 대선 후보 트럼프를 걱정하는 정당한 이유 (0) | 2016.05.04 |
---|---|
[특파원칼럼]힐러리와 ‘올드보이’들 (0) | 2016.05.03 |
보이스피싱의 나라 박은경 기자 베이징 (0) | 2016.04.26 |
[사설]오바마의 히로시마 방문을 학수고대하는 아베에게 (0) | 2016.04.25 |
[국제칼럼]조세 투명성과 복지사회 (0) | 2016.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