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인류적 파리 테러를 규탄한다
본문 바로가기
경향 국제칼럼

[사설] 반인류적 파리 테러를 규탄한다

by 경향글로벌칼럼 2015. 11. 15.

지난 주말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최악의 테러 사건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반인류적 범죄이다.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과 민간 시설을 겨냥하는 야만적인 테러를 강력히 규탄한다.

이번 테러의 배후는 이슬람 수니파 무장세력인 ‘이슬람국가(IS)’로 드러나고 있다. 지금까지 시리아와 이라크 지역에서만 잔인한 범죄를 저질러온 IS가 전 세계를 공격 상대로 선언하고 나선 것이다. 이제 전 세계는 언제 어디에서 테러가 발생할지 몰라 불안에 떨 수밖에 없게 됐다. 각국이 다중 민간 시설에 대한 경계를 대폭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무차별적이고 잔인한 테러 범죄에 대해 단호한 대처 또한 중요하다. IS를 비롯한 극단주의자들의 비열한 의도에 말려들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국제사회는 보복 차원의 공격에 나설 태세이다. 프랑스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자비 없는 전쟁”을 선언했다. 자국민이 대거 희생당한 앙갚음을 하려는 의중을 드러낸 것이다. IS에 대해 소극적 태도를 견지해온 미국 정부는 내외로부터 거센 정책전환 압력을 받을 것 같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대처는 보다 정교하게 이뤄져야 한다. 이번 테러의 배후에는 복잡한 중동 정세와 서방국가들의 대아랍정책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다. 서방국가들의 개입과 간섭 때문에 중동 문제가 복잡하게 꼬인 측면이 크다. 성찰하는 자세로 해결책을 고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고 단순 보복 차원의 대응으로 나간다면 이는 문제의 근본 해결과 거리가 멀뿐더러 자칫 새로운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증오를 앞세울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9·11테러의 산물인 미국의 대테러전쟁이 똑똑히 보여주었다. 테러단체 알카에다에 충격을 가했지만 그럼에도 미국에 대한 테러 위협은 오히려 증가했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유럽의 중동 난민정책은 날벼락을 맞았다. 이번 테러 용의자 중 2명이 난민으로 위장해 프랑스에 입국한 것으로 알려진 것이 결정타 역할을 했다. 난민 수용에 적극적 입장이던 독일 내에서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더 이상 난민을 수용할 수 없다”고 나왔다. 그러나 테러 용의자는 난민이 아니라 범죄자일 뿐이다. 그들이 난민으로 위장한 것이 일반 난민을 거부하는 빌미가 돼선 안된다. 중동 난민 수용은 보편적인 인류애의 실현일 뿐 아니라 이번 테러를 낳은 중동 문제를 푸는 지름길도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유럽 내 극단주의자들의 준동을 가라앉히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유럽 국가들이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테러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확장될 것이다. 유럽의 극단주의와 IS로 상징되는 중동의 극단주의는 서로에 대한 반감을 동력원으로 삼는 적대적 공존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유럽의 극우세력을 중심으로 유럽 내 무슬림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 결과적으로 IS가 세력을 불리는 결과를 막을 수 없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