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최대 국제예술제인 아이치 트리엔날레에 출품된 ‘평화의 소녀상’ 전시가 강제로 중단됐다. 일본 정부의 공공연한 압력과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가 일방적으로 전시 중단을 통보한 결과다. 트리엔날레 기획전으로 마련된 ‘표현의 부자유, 그후’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소녀상을 비롯해 그간 일본 정부의 외압으로 전시되지 못한 작품을 한데 모은 전시다. 양식 있는 일본 예술인과 시민들의 노력으로 어렵게 성사되어 ‘평화의 메신저’ 역할을 기대했던 소녀상이 사흘 만에 강제 철거되고, 해당 전시도 통째로 중단됐다. 한 일본 작가의 지적처럼 “역사 문제를 직시하지 않는 불관용과 인권의식이 없는 국가”임을 백일하에 드러낸 꼴이다. 전시회 이름처럼 ‘표현의 부자유’를 자인한 것이기도 하다.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에서 4일 관람객이 폐쇄된 전시장 입구를 촬영하고 있다. 나고야 _ 연합뉴스
이번 전시는 개막하자마자 일본 정부의 노골적인 중단 압력과 우익 세력의 위협에 부딪혔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보조금 중단을 거론하며 압박했고, 가와무라 다카시 나고야 시장은 ‘위안부 망언’을 퍼부으며 전시 중단을 요구했다. 우익 세력은 “가솔린 탱크를 몰고 전시장을 들르겠다”는 협박을 서슴지 않았다. 아이치트리엔날레 큐레이터들은 성명에서 “전후 일본 최대의 검열 사건이 될 것”이라며 ‘역사적 폭거’로 규정했다. 일본 정부의 ‘평화의 소녀상’ 전시 방해는 해외에서도 자행되고 있다. 독일 베를린의 ‘게독’ 전시관에서 지난 2일 시작된 ‘토이스 아 어스’에 소녀상이 출품 전시되자 공문을 보내 철거를 압박했다고 한다. 앞서 독일의 한 기념관에 상설 전시된 10㎝도 채 안 되는 작은 소녀상마저 일본 정부가 기념관 측을 압박해 철거하도록 한 사실도 뒤늦게 확인됐다.
‘역사적 폭거’를 되돌리려는 움직임이 일본 내에서 본격화하고 있다. 해당 기획전의 실행위원들은 법적 대응에 나섰다. 일본펜클럽은 전시 계속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아사히와 도쿄 신문 등 언론의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전시 작품 철거에 반대하는 온라인 서명운동은 하루 새 5000명을 돌파했다.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를 그것 자체로 풀지 않고 ‘경제침략’으로 전용해 한·일관계를 파탄으로 내몰고 있다. 그 무도함과 졸렬함이 상징적으로 드러난 게 이번 소녀상 전시 중단이다. 역사 왜곡과 ‘한국 때리기’를 위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예술의 의의마저 짓밟는 일본, 그 반문명을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
'경향 국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이번엔 환율조작국 지정까지, 격화되는 미·중 갈등 (0) | 2019.08.07 |
---|---|
[아침을 열며]한국 외교의 힘이 필요하다 (0) | 2019.08.05 |
[사설]INF 폐기 하루 만에 미사일 아시아 배치 들고나온 미국 (0) | 2019.08.05 |
[사설]한·일 외교장관회담마저 무위, 파국으로 가자는 일본 (0) | 2019.08.02 |
[기고]일본의 옹졸함이 던진 교훈 (0) | 2019.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