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그제 매사추세츠대 강연에서 “올해 안에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자 신흥국 통화가치가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최근 3개월간 브라질 헤알화의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는 35% 폭락했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말레이시아 링깃화 가치도 10% 넘게 떨어졌다. 향후 급격한 자금 유출에 따라 이들 신흥국이 “1997년보다 더 심각한 외환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옐런 의장은 “세계 경기가 미국의 금리 인상 계획을 바꿀 정도로 중요하지는 않다”며 더 이상 눈치 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미국은 금리 인상으로 세계 경제에 큰 후유증을 안긴 전력이 있다. 1994년 2월부터 1년 새 기준금리를 3%포인트 올린 몇 년 뒤 한국을 비롯한 대다수 신흥국은 외환위기를 겪었다. 2000년대 중반에도 2년간 금리를 4.25%포인트 인상하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다.
2004년 미국금리 인상기 한국.미국 기준금리 추이, 미국금리 인상기간과 폭_경향DB
미국이 나 홀로 호황을 누리며 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최근 상황은 세계 경제 침체 속에서 정보기술(IT) 호황에 힘입어 미국만 회복세가 뚜렷했던 1990년대 중반과 비슷하다. 다른 점이라면 세계 및 한국 경제에서 중국과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졌다는 것이다. 게다가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고, 원화 가치는 3개월 만에 8% 가까이 떨어졌다. 외환보유액이 넉넉하고 단기외채가 적다고 안심만 할 수는 없다. 초읽기에 들어간 미국의 금리 인상 단행 이후 중국의 침체 가속화와 신흥국 자금 유출로 한국 경제가 타격을 받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
'경향 국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동칼럼] ‘레솔베르’와 ‘고난의 행군’ (0) | 2015.10.04 |
---|---|
[사설]총기 사고로 또 10명 사망한 미국, 문명국가인가 (0) | 2015.10.02 |
[사설]교황의 호소에 미국인이 응답해야 (0) | 2015.09.25 |
[사설]미·중 정상회담, 북핵 문제 구체적 해결책 내놔야 (0) | 2015.09.23 |
[사설] 교황과 미국 대통령이 논할 공통 가치를 주목한다 (0) | 2015.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