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이산상봉은 정치·군사적 변수에 흔들리지 않아야
본문 바로가기
경향 국제칼럼/한반도 칼럼

[사설]이산상봉은 정치·군사적 변수에 흔들리지 않아야

by 경향글로벌칼럼 2015. 9. 8.


남북이 다음달 20~26일 금강산에서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했다. 지난 7일부터 이틀간 열린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남북 각 100명 규모의 이산상봉 행사 개최에 의견을 모은 것이다. 이로써 지난해 2월 이후 1년8개월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이 열리게 됐다. 이산상봉을 학수고대하는 수많은 이산가족을 생각하면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남북이 ‘8·25 합의’로 모처럼 되찾은 대화 분위기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된 것도 의미가 크다.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는 가장 시급한 남북 교류 사업이다. 이산가족 고령자가 많고, 사망자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북관계 현실은 이런 절박성을 외면하고 있다. 상봉이 정례화되지 않아 항상 언제 다시 열릴지 알 수 없는 일회성으로 끝나고 있다. 상봉 장소와 규모도 협소해 한꺼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전체 이산가족 6만3000명 모두가 상봉하려면 47차례의 행사가 열려야 한다. 따라서 이산상봉과 함께 생사확인이나 서신교환, 화상상봉 등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산가족민원실에서 적십자사 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이 상담 업무를 하고 있다._경향DB



이 같은 이산상봉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첫걸음은 바로 이번 상봉을 순조롭게 치르는 것이다. 다음달 10일 당 창건 70주년 기념일 즈음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장거리 로켓 발사 문제로 상봉 행사가 차질을 빚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에 앞서 북한은 그런 군사 도발을 자제함으로써 ‘8·25 합의’ 이행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남한 역시 북한을 자극하는 언행을 자제해야 한다. 정부는 차제에 인도적 사안과 정치, 군사 문제를 분리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인도적 사안이 매번 정치, 군사적 문제에 의해 휘둘리고, 결국 남북관계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쳐 인도적 사업의 추동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 현안 가운데 가장 엄중한 인도적 과제다. 어떤 돌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지속될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과 조건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자면 정부는 북한의 인도적인 관심사에 적극 부응해야 한다. 최근 큰 피해를 입은 북한 나진·선봉 지역에 대한 지원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남북이 이같이 상호 호혜적으로 나간다면, 상봉 정례화 등 남북 간 인도적 교류 심화와 남북대화의 안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남북이 가까운 시일 안에 적십자회담을 열기로 한 만큼 인도적 교류 확대에 진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