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복원의 의미
본문 바로가기
=====지난 칼럼=====/박영환의 워싱턴 리포트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복원의 의미

by 경향글로벌칼럼 2018. 5. 15.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의 북서쪽 13번가 1500번지. 원형 교차로 길가의 빅토리안 양식 3층짜리 갈색 벽돌 건물이 보였다. 복원 공사를 마치고 오는 22일(현지시간) 개관식을 앞둔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이다. 22일은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일이다. 개관식에서는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이 건물에 국기 게양이 중단된지 113년만에 처음으로 국기 게양식이 열린다.

 

개관을 앞둔 공사관을 14일 미리 찾아갔다. 돌계단을 따라 현관에 들어가니 왼쪽으로 손님들을 맞았던 객당, 오른쪽으로 연회공간인 식당이 보였다. 관계자는 사진 자료와 고문서를 바탕으로 1880년대 공사관 모습을 그대로 재현했다고 설명했다. 객당에는 서양식 카페트와 한국 전통의 병풍이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좁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공사 집무실과 공관원 사무공간이 나온다. 한복 차림에 수염을 기르고 갓을 쓴 채 서양식 탁자에 앉아 있는 공사관 직원들을 상상해봤다. 숙소로 사용했던 3층은 전시관으로 꾸며놨다.

 

복원공사를 마친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외부 전경. 문화재청 제공

 

전시관에서는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의 역사를 통해 우리의 아픈 과거를 그대로 볼 수 있었다. 1888년 1월 워싱턴에 도착한 박정양 초대 주미공사 일행은 피셔하우스를 임대해 업무를 시작했다. 조선왕조는 이듬해인 1889년 2월 당시 정부 예산의 절반에 육박하는 2만5000달러를 투자해 이 공사관을 사들였다. 그리고 이 공관은 1897년 10월 조선왕조가 대한제국을 선포한 이후 외교 활동의 중심 무대가 됐다. 하지만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긴 뒤 건물 관리권도 일제로 넘어갔고, 일제는 이 곳을 단돈 5달러에 강제로 매입해 미국인에게 10달러에 팔아넘겼다. 이후 공사관은 되찾아야 할 독립의 상징으로 남았고, 102년 만인 2012년에서야 문화재청이 350만달러에 매입해 원형 복원 공사에 착수했다.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1층의 객당. 문화재청 제공

 

공사관을 사용했던 인물들의 이야기는 더 생생하다. 초대 공사 박정양은 고종의 명을 받고 2개월에 걸쳐 미국 군함과 일본 여객선을 갈아타며 39,215리 길을 달려 워싱턴에 도착했다. 당시 조선을 속국으로 여기던 청나라는 그에게 영약삼단이란 해괴한 원칙을 요구했다. 주재국에 가면 먼저 청나라 공사관에 알린 뒤 청나라 공사와 함께 주재국 외교부를 방문하고, 외교 모임에서는 청나라 공사의 아랫자리에 앉고, 문제가 생기면 청나라 공사와 합의 처리하라는 내용이다. 하지만 그는 청나라 관계자 없이 스티븐 클리블랜드 미국 대통령을 만나 고종의 국서를 전달하고 “양국의 우위가 돈독하며 영원히 화평하여 피차 인민이 균등하게 권리를 누리기를 간절히 원한다”고 요청했다.

 

박정양과 함께 근무했던 초대 서기관이 독립협회를 조직했던 월남 이상재다. 1896년부터 주미 공사를 지낸 이범진은 이후 러시아 공사로 자리를 옮긴 후 1910년 나라를 잃자 분을 이기지 못하고 자결했다. 그의 미국 근무 당시 초등학생으로 아버지의 백악관 방문에 동행해 통역을 해줬다는 아들 이위종은 고종의 헤이그특사 중 한 명이 됐다.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2층의 공사 집무실. 박영환 특파원

 

전시관까지 살펴보고 되돌아 내려오는데 마음이 무거웠다. 구한말 준비 없이 열강의 힘싸움에 휘말려 일본에 나라를 잃었고, 독립 후에는 다시 냉전 대결의 최전방이 되면서 전쟁과 분단이란 비극을 되풀한 우리의 역사가 스쳐지나갔다. 한반도의 현재 상황을 구한말과 비교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중국은 궐기를 선언했고, 미·중 대결 구도가 심화되면 한국은 또다시 강대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할지 모른다.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이라 이날 방문이 더 특별했는지 모르겠다. 북핵 문제 해결과 종전 선언은 한반도 냉전 구조 해체의 시작이 될 수 있다. 한국 정부는 북한과 미국을 협상의 장으로 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제는 평화체제로 가는 길을 닦을 수 있는 세기의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모든 힘을 다해야 할 시점이다. 한반도의 운명을 가를 역사적인 순간에 서 있는 것이다. 오는 22일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을 찾는 문재인 대통령도 대미 외교 개척의 현장인 이 곳을 찾아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워싱턴|박영환 특파원 yhpark@kyunghya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