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선 못 보는 홍콩영화 ‘트리비사’
본문 바로가기
=====지난 칼럼=====/박은경의 특파원 칼럼

중국선 못 보는 홍콩영화 ‘트리비사’

by 경향글로벌칼럼 2017. 4. 11.

영화 <트리비사(Trivisa·樹大招風)>가 9일 열린 제36회 홍콩금상장영화제에서 5관왕을 차지하는 순간, 중국 본토에 생중계하던 온라인 사이트가 갑자기 끊겼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금상장 시상식도 중국 본토에서는 공식 중계되지 않았다. 영화제를 궁금해하는 중국 팬들의 수요에 맞춰 ‘비리비리(bilibili)’ 같은 온라인 사이트에서 비공식 중계를 했지만 최우수작품상 수상 장면은 차단됐다.

 

<트리비사>는 최우수작품상을 비롯해 최우수감독상, 남우주연상, 각본상, 편집상 등 주요 상을 모두 휩쓸었다. 사실상 독무대나 마찬가지였다. 영화는 중국 귀속을 앞둔 1997년 홍콩을 배경으로 세 명의 범죄자 이야기를 담은 액션 스릴러다. 트리비사는 세 가지 독(毒)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로 탐욕, 분노, 무지를 뜻한다. 밀수꾼, 납치범, 금은방 털이범으로 살아온 전설적 범죄자들이 중국 귀속을 앞두고 어려움에 부딪히자 서로 만나 힘을 합치려 한다는 내용이다. 홍콩 반환이 갖는 사회적 불안과 의미를 잘 그려냈다는 평가다.

 

영화 <트리비사>의 한 장면

 

중국은 당연히 이 영화의 수상이 달갑지 않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트리비사>의 내용은 전혀 소개하지 않고 “본토 영화관에서 상영 허가를 받지 못한 영화”라고만 전했다. 행사가 생중계되지 않은 이유도 저작권 문제라고만 설명했다.

 

지난해에도 금상장은 중국 통치하의 암울한 홍콩을 그린 <10년>에 최우수작품상을 안겼다. 2025년 홍콩을 배경으로, 본토 말인 만다린 사용이 의무화되면서 고통을 받는 택시기사와 마치 홍위병처럼 어른들을 감시하는 어린이 얘기 등 5편의 단편을 엮은 옴니버스 영화다. 환구시보는 터무니없는 불안과 비관론을 확산시킨다고 이 영화를 비난했다. 전년까지 계속되던 시상식 중계가 중단된 것도 이때부터다.

 

1990년대 아시아를 넘어 세계 영화계를 휩쓸던 홍콩 영화는 막대한 중국 자본에 밀려 힘을 쓰지 못한 지 오래다. 홍콩의 유명 감독과 배우들은 본토 영화나 드라마에서 더 자주 볼 수 있다. 올해로 중국 귀속 20주년을 맞는 홍콩의 복잡한 속내는 영화상 수상 소감에서도 잘 드러난다.

 

남우주연상을 받은 배우 램 카퉁(49)은 “홍콩 배우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홍콩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담을 수 있는 새로운 역할에 계속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신인감독상을 받은 웡 춘(29)은 “상상력을 확장해 홍콩 영화산업에 새로운 변화를 불어넣기를 바란다”고 했다.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이었던 홍콩 사회의 활기는 크게 사그라들었다. 2014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 완전 직선제를 요구하던 우산혁명은 좌절됐고, 당시 시위를 강경 진압한 캐리 람(林鄭月娥·59)이 차기 행정장관으로 당선됐다. 여론조사에서는 크게 밀렸지만 1200명의 선거위원이 뽑는 체육관 선거에서 ‘중앙이 지지하는 유일한 후보’인 람의 당선은 예정된 수순이었다. 람은 9일부터 베이징에서 중국 지도부를 예방하며 차기 행정부를 준비하고 있다.

 

1990년대 홍콩 영화는 독특한 색채의 누아르로 세계의 관중을 사로잡았지만 지금은 선거권조차 없는 홍콩 시민들이 유일하게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가 됐다.

 

베이징 | 박은경 특파원 yama@kyunghyang.com

반응형

댓글